[요약] 1. 현치도 수평 치수 넣기 2. 수평 치수 설명 3. 치수 그리는 요령 1. 현치도 수평 치수 넣기 현치도를 효율적으로 그리기 위하여, 수직/수평 치수를 먼저 기재하고, 선을 따낸다. 그래야 빨리 그릴 수 있다. 2. 수평 치수 설명 먼저 필요한 치수 부터 나열해 본다. 0, 87, 137, 170, 180, 185, 200, 215, 220, 290, 400, 415, 600 이다. 외우기가 쉽지 않다. 외우지 말자. 이해시켜 드리겠다. 먼저 시험문제인 도면부터 잘 보자. 일단, 자 이렇게 이해해 보자. 87, 137, 200, -30, +-15/20, 290, 400, +15, 600 이 수평으로 찍게 되는 치수가 어떻게 결정되었는지 알아보자. 그러면 더 외울 필요가 없다. 도면에서 나온다..
[요약] 1. 목공기능사 실기 시험문제 2. 현치도 작성 준비 3. 현치도 작성 요령 1. 목공기능사 실기 시험문제 지난해 부터, 목공기능사 실기 시험용 목공품이 하나로 정리 되었다. 하나로 고정된 만큼 난이도는 '상급'으로 고정되었다. 도면을 보고 현치도를 그려서, 위의 작품을 만들면 된다. 2. 현치도 작성 준비 목공기능사 실기 시험에서, 도면을 따라 목공품을 만드려면, 목재를 제단할, 1:1 축척의 도면을 만들어야 한다. 그게 바로 '현치도'이다. 일단 준비물품을 알아 보자. 30도 삼각자, 45도 삼각자, 60mm 철자, 펜 이 기본 구성품이고, 여기에 무릎 보호대가 추가로 필요하다. 시험장 바닥에 깔려있는 목판 위에 현치도를 그려야 하는데, 수직, 수평을 유지하면서 그리려면, 삼각자를 두 무릎으..
[요약] 1. 목공기능사 시험 정보 2. '현치도'란? 1. 목공기능사 시험 정보 목공기능사는 산업인력관리공단에서 관리하는 기능사 자격이다. 목공기능사는 필기 시험이 없고, 도면 한장에 있는 목재 가공품을, 실재로 만드는 실기 시험만 치르면 된다.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이면 합격이다. 2. '현치도'란? 도면에 기재된 목재 가공품을 만드려면, '현치도'라는 1:1 축적의 평면, 측면, 전면이 혼합된 도면을 작성해야 한다. 이 도면 또한 평가 대상이다. 목재 원목 가공에서부터, 마지막 완성까지 시험 항목이며, 총 시험 시간은 5시간 이다. 합격을 하려면, 기본적인 톱질, 끌질, 대패질은 할 수 있어야 한다. 중간 채점이 있으니, 정해진 제작법 이외에 꼼수를 부리다간, 감점 혹은 퇴실 될 수 있으니 ..
[요약] 1. 톱의 종류 2. 자르기와 켜기의 구분 3. 등대기 톱 1. 톱의 종류 목공에서 주로 사용하는 톱의 종류는 아래와 같다. 양날톱 300(대목용), 270, 240mm 등대기톱(섬세한 작업용) 372, 370mm 플러그톱(가구 제작시 목다보 자르기) 2. 자르기와 켜기의 구분 양날톱의 한쪽 날은 칼날이 2쌍, 다른 한쪽은 칼날이 크게 하나로만 구성되어 있다. 2쌍인 쪽이 자르기용 톱날, 한날인 쪽이 켜기용 톱날이다. 그런데 자르는 건 알겠는데, 켜기는 무엇인가? 그건 목재의 섬유 방향과 관계가 있다. 이거 하나만 알아두어도, 톱질 실력을 25%는 상승시킬 수 있으니 잘 알아두자! 나무의 섬유 방향과 직각으로 절단하는 것을 '자른다'고 한다. 파를 조리할 때, 짧게 써는 것과 같다. 나무의 섬유..
[요약] 1. 직각자 소개 2. 직각자 보관 방법 3. 직각자 손질하기 1. 직각자 소개 곡척, 기억자, 사시가네, 가네자쿠 등으로 불린다. 휘게해서 곡선도 그리고, 지붕 물매값 각도, 계단 치수 넣을때도 사용한다. 목수는 각으로 시작해서, 각으로 끝내야한다. 그 각을 잘 잡으려면 직각자가, "나와라 가제트 직각자!" 보다 더 빨리 내 손에 잡혀 있어야 할 것이다. 2. 직각자 보관 방법 이 생명과 같은 직각자를 가지런히 정리해서 보관한다고, 못에 걸어두는 일이 있어서는 안된다. 철이지만, 크기가 크고, 각도의 미세한 변형이 치수의 큰 오류를 만드므로, 제대로 보관해야한다. 꼭 벽에 걸어야 하는 상황이라면, 못을 두개를 박아서 중력과 직교하게 걸자. 여기 원장님처럼, 각이 항상유지 될수 있도록 파우치를 ..
[요약] 1. 날입 세팅하기 2. 날집 세팅하기 3. 덧날의 용도 지난 수업에서 대패와 끌의 날을 열심히 갈아 두었다. 그리고 오늘 나머지 초기 손질을 다하여, 나의 첫 대패를 완성 할 것 같다. 1. 날입 세팅하기 대패가 증기기관차처럼 대팻밥을 쑥쑥 배출하며 나가려면, 적정한 배기구(배출구)가 있어야 한다. 적당한 두께와 폭이 필요하다. 구매 직후의 대패의 문제점을 원장님이 시연해 주셨다. 깍이기는 하는데, 톱밥이 걸려서 힘이 더 들어간다. 두께는 어미날을 끼우고 나서 2mm정도 확보되면 되고, 폭은 어미날의 폭을 넘어 가기만 하면 된다. 두께는, 칼이나 끌로 잘라서 넓혀주면 되고, 폭은, 어미날의 앞 모서리를 그라인더나 숫돌로 갈아서 어미날 폭을 줄이면 된다. 그라인더로 갈 때, 마찰열로인한 날의 강..
[요약] 1. 괭기 빼기 2. 괭기 내부 다듬기 3. 자루 상단 손질 4. 자루 머리 꽃 피우기 끌 또한 구매한 후에는 손질을 하고 사용해야 한다. 1. 괭기 빼기 끌 자루의 끝에 있는 가락지 모양의 철물이 '괭기'이다. 일반인이 보면, 끌을 망치로 때릴 때 '이 철을 때리게끔 사용하겠구나! 난 천재' 라고 생각할 수 있겠다. 틀렸다. 목공에서 쇠를 바로 때려서 좋을게 없다. 나무를 때려서 손 감각을 더 살려주게 해야 한다. 이 가락지는 나무인 자루가 벌어지고 갈라지는 것을 막아주는 용도이다. 빼 주자. 사진처럼 자루만 목재에 걸리게 받쳐주고, 괭기는 타카핀과 망치를 이용하여 쳐준다. 2. 괭기 내부 다듬기 괭기 내부가 거칠어서 뒤집어서 자루에 넣기 어려우므로, 내부를 쇠줄로 갈아준다. 3. 자루 상단 ..
[요약] 1. 대패의 종류 2. 날 빼기 3. 어미날 갈기 4. 덧날 갈기 5. 날 끼우기 6. 구멍 뚫기 7. 대패 평 잡기 8. 대패 관리 '목수'라 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이미지가 무엇일까? 톱? 망치? 못? '다음 이미지 검색'을 해보니, 대패 3개, 톱 2개, 망치 1개가 나왔다. 다행이다. 제목처럼 대패를 언급하고 싶었다. 오늘 하루종일 대패 날만 갈고 왔기 때문이다. 1. 대패의 종류 위의 그림보다 더 많은 대패의 종류가 있겠지만, 간단하게 정리해 본다. 서양대패: 앞으로 밀어내며 목재를 깍는다. 동양대패: 몸쪽으로 당기며 목재를 깍는다. 전동대패: 전기의 힘으로 목재를 깍는다. 순서대로 서양, 동양, 전동 대패다. 길이에 따라 장대패와 단대패로 나뉘며, 날폭으로 대패의 폭을 나타내며, ..
[요약] 1. 벽 구조 보강잡기 2. 목 상 달기 3. 그랭이질 4. 줄눈 계획 5. 공구 설명 - 정추, 수평대 1. 벽 구조 보강잡기 어제 설치해둔 벽 구조체는 벽의 형상을 잡아줄 목재이다. 이 목재 구조는 본구조물에 확실히 지지되어야 한다. 그래서 아래사진의 보강재를 만들어서, 최소한의 보강을 잡는다. 자세히 보면 3종류의 보강재가 섞여 있다. 하. 숨은그림 찾기 이벤트를 하려다가, 시간이 남아서 특별히 대충 그렸다. 보강재를 대고 타카질을 하여서, 본구조와 목재 구조체를 연결해 준다. 위의 사진처럼 여러군데 연결해주면 된다. 뜯어지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이면 50mm 타카핀, 직교한 방향이면 30mm 정도로 고정한다. 고정을 완료했다. 바닥면은 콘크리트 바닥에 타카핀을 망치로 박았다. 실재 현장에서..
- Total
- Today
- Yesterday
- 목공인테리어
- 목공
- 목수학원
- 공간활용
- 알리익스프레스
- 인테리어
- 초보목수
- 패밀리라이프
- 씨앗발아
- 레이저커팅기
- 호스타
- 국비
- 목수교육
- 시트지
- 중국산호스타
- 지퍼락발아
- 지퍼락씨앗발아
- 새싹관리
- 시트지붙이기연습
- 무료교육
- 레이저CNC
- 인테리어 필름
- 시트지기본
- 목공기능사
- 목공학원
- 목공교육
- 목수
- 노가다
- 국비지원
- 호스타씨앗발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