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1. 수직선 그리기 요령 2. 수직선 그리기 1. 수직선 그리기 요령 수직 치수점 들이 찍혀있고, 수평선들이 그어져 있다. 수평선을 그릴 때 사용한 삼각자를 그대로 유지하여, 직각을 잘 잡아서, 수직선을 그리자. 2. 수직선 그리기 수평선을 그리고 난 다음, 삼각자를 절대 풀지 말고, 그대로 이용하자. 선을 그었던 30도 삼각자를, 수직점 0 에서 아래 10mm지점에서 두 무릎으로 잡아준다. 수직선을 긋기 위해서, 30도 삼각자 위에, 45도 삼각자를 그림처럼 올린다. 수평 치수점 '0'점 부터 그린다. 다음 87 라인 긋기. 137, E2의 우측부. 170, 나중에 B부재의 장부를 맞출 곳이므로, 최상부에 조금만 그어주면 된다. 180, A2 부재의 죄측부. 185, F 부재의 좌측부. 200..
[요약] 1. 수평선 그리기 요령 2. 수평선 그리기 1. 수평선 그리기 요령 필요한 치수들은 잘 기재해 두었으니, 삼각자 두개와 내 두 무릎을 잘 이용하여, 현치도를 잘 그려보자. 중요한 사항은 삼각자를 잘 붙잡아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직각을 잘 잡지 못하면 선들이 틀어지고, 결국에는 완성된 목공품의 부재들이 맞아 들어가지 않을 것이다. 설명 자료에서, 삼각자를 두껍게 표시한 것들은, 움직이지 않게 꾹 누르고 있으라는 것이므로 두 무릎으로 2개 지점을 잘 눌러주자. 1개 지점만 누르면, 지점을 중심으로 쉽게 회전해 버려서 틀어지니, 꼭 2개소를 지지하자. 2. 수평선 그리기 치수들이 다 표기되었으니, 잘 그려보자. 수평 기준을 잡기위해 가늘게 그어둔 수평선에, 30도 삼각자의 긴 부분을 잘 맞추어 대..
[요약] 1. 현치도 수직 치수 넣기 2. 수평 치수 설명 3. 치수 그리는 요령 1. 현치도 수직 치수 넣기 현치도를 효율적으로 그리기 위하여, 수직/수평 치수를 먼저 기재하고, 선을 따낸다. 그래야 빨리 그릴 수 있다. 수평 치수 점을 표기해 두었으니, 이제 수직 치수를 표기해 보자. 2. 수평 치수 설명 필요한 치수 부터 나열해 본다. 0, 30, 40, 50, 185, 200, 215, 330, 360, 400 이다. 외우기가 쉽지 않다. 외우지 말자. 이해시켜 드리겠다. 시험문제인 도면부터 잘 보자. 이렇게 이해해 보자. 30, 40, 50, 215, -15, -15, 400, -40, -30 이 수직으로 찍게 되는 치수가 어떻게 결정되었는지 알아보자. 도면에 다 나온다. 먼저 30, 좌측면도에..
[요약] 1. 현치도 수평 치수 넣기 2. 수평 치수 설명 3. 치수 그리는 요령 1. 현치도 수평 치수 넣기 현치도를 효율적으로 그리기 위하여, 수직/수평 치수를 먼저 기재하고, 선을 따낸다. 그래야 빨리 그릴 수 있다. 2. 수평 치수 설명 먼저 필요한 치수 부터 나열해 본다. 0, 87, 137, 170, 180, 185, 200, 215, 220, 290, 400, 415, 600 이다. 외우기가 쉽지 않다. 외우지 말자. 이해시켜 드리겠다. 먼저 시험문제인 도면부터 잘 보자. 일단, 자 이렇게 이해해 보자. 87, 137, 200, -30, +-15/20, 290, 400, +15, 600 이 수평으로 찍게 되는 치수가 어떻게 결정되었는지 알아보자. 그러면 더 외울 필요가 없다. 도면에서 나온다..
[요약] 1. 목공기능사 실기 시험문제 2. 현치도 작성 준비 3. 현치도 작성 요령 1. 목공기능사 실기 시험문제 지난해 부터, 목공기능사 실기 시험용 목공품이 하나로 정리 되었다. 하나로 고정된 만큼 난이도는 '상급'으로 고정되었다. 도면을 보고 현치도를 그려서, 위의 작품을 만들면 된다. 2. 현치도 작성 준비 목공기능사 실기 시험에서, 도면을 따라 목공품을 만드려면, 목재를 제단할, 1:1 축척의 도면을 만들어야 한다. 그게 바로 '현치도'이다. 일단 준비물품을 알아 보자. 30도 삼각자, 45도 삼각자, 60mm 철자, 펜 이 기본 구성품이고, 여기에 무릎 보호대가 추가로 필요하다. 시험장 바닥에 깔려있는 목판 위에 현치도를 그려야 하는데, 수직, 수평을 유지하면서 그리려면, 삼각자를 두 무릎으..
[요약] 1. 목공기능사 시험 정보 2. '현치도'란? 1. 목공기능사 시험 정보 목공기능사는 산업인력관리공단에서 관리하는 기능사 자격이다. 목공기능사는 필기 시험이 없고, 도면 한장에 있는 목재 가공품을, 실재로 만드는 실기 시험만 치르면 된다.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이면 합격이다. 2. '현치도'란? 도면에 기재된 목재 가공품을 만드려면, '현치도'라는 1:1 축적의 평면, 측면, 전면이 혼합된 도면을 작성해야 한다. 이 도면 또한 평가 대상이다. 목재 원목 가공에서부터, 마지막 완성까지 시험 항목이며, 총 시험 시간은 5시간 이다. 합격을 하려면, 기본적인 톱질, 끌질, 대패질은 할 수 있어야 한다. 중간 채점이 있으니, 정해진 제작법 이외에 꼼수를 부리다간, 감점 혹은 퇴실 될 수 있으니 ..
[요약] 1. 톱의 종류 2. 자르기와 켜기의 구분 3. 등대기 톱 1. 톱의 종류 목공에서 주로 사용하는 톱의 종류는 아래와 같다. 양날톱 300(대목용), 270, 240mm 등대기톱(섬세한 작업용) 372, 370mm 플러그톱(가구 제작시 목다보 자르기) 2. 자르기와 켜기의 구분 양날톱의 한쪽 날은 칼날이 2쌍, 다른 한쪽은 칼날이 크게 하나로만 구성되어 있다. 2쌍인 쪽이 자르기용 톱날, 한날인 쪽이 켜기용 톱날이다. 그런데 자르는 건 알겠는데, 켜기는 무엇인가? 그건 목재의 섬유 방향과 관계가 있다. 이거 하나만 알아두어도, 톱질 실력을 25%는 상승시킬 수 있으니 잘 알아두자! 나무의 섬유 방향과 직각으로 절단하는 것을 '자른다'고 한다. 파를 조리할 때, 짧게 써는 것과 같다. 나무의 섬유..
[요약] 1. 직각자 소개 2. 직각자 보관 방법 3. 직각자 손질하기 1. 직각자 소개 곡척, 기억자, 사시가네, 가네자쿠 등으로 불린다. 휘게해서 곡선도 그리고, 지붕 물매값 각도, 계단 치수 넣을때도 사용한다. 목수는 각으로 시작해서, 각으로 끝내야한다. 그 각을 잘 잡으려면 직각자가, "나와라 가제트 직각자!" 보다 더 빨리 내 손에 잡혀 있어야 할 것이다. 2. 직각자 보관 방법 이 생명과 같은 직각자를 가지런히 정리해서 보관한다고, 못에 걸어두는 일이 있어서는 안된다. 철이지만, 크기가 크고, 각도의 미세한 변형이 치수의 큰 오류를 만드므로, 제대로 보관해야한다. 꼭 벽에 걸어야 하는 상황이라면, 못을 두개를 박아서 중력과 직교하게 걸자. 여기 원장님처럼, 각이 항상유지 될수 있도록 파우치를 ..
[요약] 1. 괭기 빼기 2. 괭기 내부 다듬기 3. 자루 상단 손질 4. 자루 머리 꽃 피우기 끌 또한 구매한 후에는 손질을 하고 사용해야 한다. 1. 괭기 빼기 끌 자루의 끝에 있는 가락지 모양의 철물이 '괭기'이다. 일반인이 보면, 끌을 망치로 때릴 때 '이 철을 때리게끔 사용하겠구나! 난 천재' 라고 생각할 수 있겠다. 틀렸다. 목공에서 쇠를 바로 때려서 좋을게 없다. 나무를 때려서 손 감각을 더 살려주게 해야 한다. 이 가락지는 나무인 자루가 벌어지고 갈라지는 것을 막아주는 용도이다. 빼 주자. 사진처럼 자루만 목재에 걸리게 받쳐주고, 괭기는 타카핀과 망치를 이용하여 쳐준다. 2. 괭기 내부 다듬기 괭기 내부가 거칠어서 뒤집어서 자루에 넣기 어려우므로, 내부를 쇠줄로 갈아준다. 3. 자루 상단 ..
- Total
- Today
- Yesterday
- 국비지원
- 알리익스프레스
- 인테리어
- 호스타씨앗발아
- 목수학원
- 목공학원
- 목공인테리어
- 노가다
- 중국산호스타
- 호스타
- 목공
- 국비
- 지퍼락씨앗발아
- 레이저CNC
- 초보목수
- 시트지붙이기연습
- 인테리어 필름
- 새싹관리
- 목수교육
- 목공기능사
- 목수
- 패밀리라이프
- 시트지
- 레이저커팅기
- 지퍼락발아
- 무료교육
- 시트지기본
- 씨앗발아
- 공간활용
- 목공교육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